구현, 문자열
한글 프로그램의 메뉴에는 총 N개의 옵션이 있다. 각 옵션들은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단어로 옵션의 기능을 설명하여 놓았다. 그리고 우리는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각 옵션에 단축키를 의미하는 대표 알파벳을 지정하기로 하였다. 단축키를 지정하는 법은 아래의 순서를 따른다.
- 먼저 하나의 옵션에 대해 왼쪽에서부터 오른쪽 순서로 단어의 첫 글자가 이미 단축키로 지정되었는지 살펴본다. 만약 단축키로 아직 지정이 안 되어있다면 그 알파벳을 단축키로 지정한다.
- 만약 모든 단어의 첫 글자가 이미 지정이 되어있다면 왼쪽에서부터 차례대로 알파벳을 보면서 단축키로 지정 안 된 것이 있다면 단축키로 지정한다.
- 어떠한 것도 단축키로 지정할 수 없다면 그냥 놔두며 대소문자를 구분치 않는다.
- 위의 규칙을 첫 번째 옵션부터 N번째 옵션까지 차례대로 적용한다.
첫째 줄에 옵션의 개수 N(1 ≤ N ≤ 3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+1번째 줄까지 각 줄에 옵션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입력되는데 하나의 옵션은 5개 이하의 단어로 표현되며, 각 단어 역시 10개 이하의 알파벳으로 표현된다. 단어는 공백 한 칸으로 구분되어져 있다.
N개의 줄에 각 옵션을 출력하는데 단축키로 지정된 알파벳은 좌우에 [] 괄호를 씌워서 표현한다.
코드
# 단어 첫 글자를 검사
def first_rule(words):
for i in range(len(words)):
if words[i][0].lower() not in shortcut_key:
shortcut_key.add(words[i][0].lower())
words[i] = '[' + words[i][0] + ']' + words[i][1:]
return True
# 단어 두 번째 글자부터 검사
def second_rule(words):
for i in range(len(words)):
for j in range(1, len(words[i])):
if words[i][j].lower() not in shortcut_key:
shortcut_key.add(words[i][j].lower())
words[i] = words[i][:j] + '[' + words[i][j] + ']' + words[i][j + 1:]
return
n = int(input())
shortcut_key = set()
for _ in range(n):
words = input().split()
# 첫 번째 규칙을 적용
if not first_rule(words):
# 첫 번째 규칙을 적용할 수 없으면 두 번째 규칙을 적용 시도
second_rule(words)
print(' '.join(words))
'알고리즘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ronze IV] 세수정렬 - 2752 (JavaScript) (0) | 2024.07.10 |
---|---|
[Silver I] 알고리즘 기말고사 - 10424 (python) (0) | 2024.07.10 |
[Gold V] 경쟁적 전염 - 18405 (python) (0) | 2024.07.05 |
[Gold V] 공주님을 구해라! - 17836 (python) (0) | 2024.07.05 |
[Silver I] 윌리암슨수액빨이딱따구리가 정보섬에 올라온 이유 - 17129 (python) (1) | 2024.07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