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분 탐색, 자료 구조, 해시를 사용한 집합과 맵, 정렬
숫자 카드는 정수 하나가 적혀져 있는 카드이다. 상근이는 숫자 카드 N개를 가지고 있다. 정수 M개가 주어졌을 때, 이 수가 적혀있는 숫자 카드를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첫째 줄에 상근이가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의 개수 N(1 ≤ N ≤ 5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정수가 주어진다. 숫자 카드에 적혀있는 수는 -10,000,000보다 크거나 같고, 10,0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
셋째 줄에는 M(1 ≤ M ≤ 500,000)이 주어진다. 넷째 줄에는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 숫자 카드인지 구해야 할 M개의 정수가 주어지며, 이 수는 공백으로 구분되어져 있다. 이 수도 -10,000,000보다 크거나 같고, 10,0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
첫째 줄에 입력으로 주어진 M개의 수에 대해서, 각 수가 적힌 숫자 카드를 상근이가 몇 개 가지고 있는지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.
코드
1. 시간초과
n = int(input())
card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m = int(input())
nums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ans = []
for i in range(m):
ans.append(card.count(nums[i]))
print(*ans)
이 코드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은 card.count(nums[i]) 이었다.
count 메소드는 리스트 전체를 순회하면서 특정 값의 개수를 세기 때문에 시간 복잡도가 O(n)이다.
따라서, card의 길이가 n이고 nums 리스트의 길이가 m일 때, 최악의 경우O(n*m)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게 된다.
2. 성공
n = int(input())
card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m = int(input())
nums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card_cnt = {}
for i in card:
card_cnt[i] = card_cnt.get(i, 0) + 1
for i in nums:
if i in card_cnt:
print(card_cnt[i], end=' ')
else:
print(0, end=' ')
이 코드에서는 먼저 card 리스트의 각 요소를 카운팅하여 card_cnt 딕셔너리에 저장한다.
이 과정의 시간 복잡도는 O(n)이다.
그 다음, nums 리스트의 각 요소에 대해 딕셔너리 조회를 수행합니다.
딕셔너리의 조회 시간 복잡도는 평균적으로 O(1)이므로, nums 리스트의 길이가 m일 때
이 과정의 시간 복잡도는 O(m)이다.
따라서, 이 코드의 전체 시간 복잡도는 O(n + m)이다.
'알고리즘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ilver IV] 요세푸스 문제 - 1158 (python) (0) | 2024.07.01 |
---|---|
[Silver IV] 큐 - 10845 (python) (0) | 2024.07.01 |
[Silver III] 정식당 - 17479 (python) (0) | 2024.07.01 |
[Silver III] 카드놀이 - 3231 (python) (0) | 2024.07.01 |
[Silver III] 7 더하기 - 4900 (python) (0) | 2024.07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