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Silver I] 윌리암슨수액빨이딱따구리가 정보섬에 올라온 이유 - 17129 (python)
너비 우선 탐색, 그래프 이론, 그래프 탐색
윌리암슨수액빨이딱따구리 세 식구가 정보섬에 올라왔다!
세 윌리암슨수액빨이딱따구리는 정보섬 2층 어딘가에 모여 앉아 쉬고 있었는데, 저 멀리 청국장과 스시와 맥앤치즈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! 아빠는 청국장, 엄마는 스시, 아이는 맥앤치즈가 먹고 싶다. 그래서 이 셋은 현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음식을 먹으러 가기로 했다.
정보섬 2층은 An×m의 격자로 표현된다. 어떤 Ai,j가 0이면 빈 복도여서 지나갈 수 있고, 1이면 장애물로 막혀 지나갈 수 없다. 윌리암슨수액빨이딱따구리 식구는 2, 청국장은 3, 스시는 4, 맥앤치즈는 5이다. 윌리암슨수액빨이딱따구리는 단위 시간마다 한 칸,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. 2, 3, 4, 5는 장애물이 아니므로 지나갈 수 있다. 격자 밖으로는 나갈 수 없으며 시작점으로부터 시작점까지의 거리는 0이다. 시작점은 윌리암슨수액빨리딱따구리의 위치, 즉 2의 위치이다.
과연 윌리암슨수액빨이딱따구리 식구는 어떤 음식에 더 빨리 도착할 수 있을까?
첫째 줄에 정보섬 2층의 크기 n과 m이 주어진다. (1 ≤ n,m ≤ 3000, 4 ≤ n×m ≤ 9×10^6)
이후 n행 m열에 걸쳐 0, 1, 2, 3, 4, 5로만 구성된 Ai,j가 주어진다. Ai,j와 Ai,j+1사이에 공백은 주어지지 않는다.
2, 3, 4, 5는 반드시 하나씩 존재하며 2, 3, 4, 5가 아닌 나머지는 0 또는 1이다.
첫째 줄에 "TAK"(폴란드어로 YES를 의미)을 출력하고, 둘째 줄에 현위치에서 가장 빨리 도착할 수 있는 음식까지의 최단 거리를 출력한다.
아무 음식도 먹을 수 없으면 "NIE"(폴란드어로 NO를 의미)를 출력한다. 이외의 출력은 하지 않는다.
TAK과 NIE를 출력할 때 따옴표는 출력하지 않으며 반드시 대문자로 출력한다.
코드
import sys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input = sys.stdin.readline
def bfs(x, y, count):
graph[x][y] = 1
q = deque([(x, y, count)])
while q:
r, c, cnt = q.popleft()
# 4가지 방향 (상, 하, 좌, 우)으로 탐색
for i in [(-1, 0), (1, 0), (0, -1), (0, 1)]:
nr = r + i[0]
nc = c + i[1]
if 0 <= nr < n and 0 <= nc < m and graph[nr][nc] != 1:
# 목표 지점까지의 거리를 반환
if graph[nr][nc] in [3, 4, 5]:
print('TAK')
print(cnt+1)
return
graph[nr][nc] = 1
q.append((nr, nc, cnt + 1))
print('NIE')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graph = [list(map(int, list(input().strip()))) for _ in range(n)]
for i in range(n):
for j in range(m):
if graph[i][j] == 2:
bfs(i, j, 0)